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전기(電氣)가 말하다

조회 2,403

관리자 2020-09-04 10:57

[­등장] 전자기(엄마), 전화(전남편), 전기,

태양광(아빠), 무선통신()

이 글은 극본 형식으로 쓰여진 전기에 관한 이야기다. 각 가정, 도로, 건물, 다리 등에 에너지를 공급하여 인간이 하루를 시작하게 하고, 부산 전체를 움직일 수 있게 하는 전기, 그녀의 독백으로 극은 시작한다. 그녀의 엄마인 전자기는 그녀가 인간이 태어나기 이전부터 있었다는 사실을, 그래서 사람들에게 너무 많은 노력을 기울이지 말 것을 항상 상기시킨다. 그리고 그녀의 딸, 무선통신은 급성장에 시달린다고 말한다. 한편, 그녀는 1887년 서울 경복궁에 첫 번째 전구의 불을 들어오게 했을 때 딸과 같은 어린 시절을 보낸 적이 있다. 그녀의 전남편 전화는 그녀보다 본인이 먼저 세상에 소개되었으며, 또 김구를 사형으로부터 구한 의미 있는 일을 했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전기가 없으면 그는 죽는다. 이제 그녀는 근본적인 존재로 성장하여, 인간들이 더 많은 에너지와 빠른 성장을 갈망하도록 만든다. 분명 인간들이 그녀를 더 원하게 될 것이라는 그녀의 아버지 태양광과의 대화로 이야기는 마무리된다.

 

문필가 아말리에 스미스(Amalie SMITH)

1985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태어난 작가이자 시각예술가이다. 2010년부터 8권의 하이브리드소설책을 출간했으며, 대표작으로는 『Marble』과 『Thread Ripper』를 꼽을 수 있다. 작가의 작품은 물질과 관념의 뒤얽힌 것들을 조사하며, 덴마크 섬에 있는 육식 식물, 디지털 구조로서의 직물, 인공적 삶의 선구자로서의 고대 테라코타 조각상 등과 같은 주제를 다룬다. 덴마크예술재단상 ˛20172019˝, 로얄 크라운 프린스 커플스의 떠오르는 스타상, 모르텐 닐센 기념상, 뭉크크리스텐 문화상을 수상했으며 몬타나 문학상 후보에 올랐다.

오디오북 바로가기

아말리에 스미스 「전기(電氣)가 말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