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278
관리자 2020-09-04 10:55
분홍빛 부산
그날은 묘하게도 안개가 자욱한 날로, 그 안개는 예상치 못하게 많은 양의 물고기를 해안으로 가져왔다. 부산 중부경찰서에서 일하는 형사 팔과 대권은 실종된 아일랜드 남자를 찾으라는 지시를 받았다. 실종자는 파브리시우스의 요청으로 2020부산비엔날레에 글을 쓰기 위해 부산을 찾은 공상과학 작가였다. 그런 그가 갑자기 사라졌다. 형사들은 그가 비흡연자에 술도 마시지 않는 사실을 알아내고, 이것이 유명세를 얻기 위한 자살 해프닝 일지도 모른다는 의심을 하게 된다. 그들은 작가가 머물렀던 호텔 방에서 잘 싸여진 여행가방과 짝없는 검정 운동화, 그리고 그가 오징어 인형을 사려했던 고물상의 것으로 밝혀진 전화번호와 이름이 적힌 노트를 발견한다. 한편 그들은 거대한 오징어가 해안에 닿았다는 소식을 듣게 된다. 형사들은 중앙동, 텍사스 거리, 자갈치 시장, 보수동 책방골목 일대를 돌며 단서를 찾는다. 마침내 그들은 해산물 시장에 도착해 커다란 수조 안에 갇혀 있는 오징어를 발견한다. 사람들이 먹잇감을 던져주자 오징어는 촉수를 사용해서 꿀꺽꿀꺽 삼켰다. 그리고는 검정 신발이 신겨진 한쪽을 토해냈다.
문필가 마크 본 슐레겔(Mark von SCHLEGELL)
1967년 미국 뉴욕에서 태어났으며, 현재 독일 쾰른에서 거주 중인 미국/아일랜드 국적의 소설가이다. 데뷔작 『Venusia』(2005)는 제임스 팁트리 주니어상에서 SF 부문 수상 후보에 올랐으며, 소설 『Dreaming the Mainstream: Tales of Yankee Power』(2013), 『New Dystopia』(2011), 『Mercury Station: a transit』(2009), 『Sundogz』(2015), 『High Wichita』(2011) 등이 있다. 지속적으로 실험적인 공상과학, 문학 이론, 예술에 대한 글을 독립 출판계에서 출간하고 있다.
오디오북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