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묘박지

조회 2,383

관리자 2020-09-04 10:48

음악가  최태현(CHOI Taehyun, 한국)

최태현은 2010년 퍼포먼스와 음반 제작의 경량성과 단순성, 과감성을 추구하며 활동을 시작했다. 듀오 밴드 쾅프로그램(2011-)에서 작곡, 기타, 보컬을 담당하고 있으며, 팝적인 사운드 내에서 즉흥성의 확장을 시도해 왔다. 솔로 프로젝트(2013-)로는 전자 장치의 재귀성, 사물의 진동, 인터넷의 무작위성에 기댄 사운드 채집과 샘플링 등을 활용한 연주와 작곡을 들려주고 있다. 대중음악과 실험음악 간의 모핑과 전이, 양자의 퇴화 혹은 초월을 모색하며 공연자가 가지는 통제의 성패를 즐긴다. 사이드 프로젝트로 전자음악 듀오 THSS(2017-)가 있다. 《ROTTY》(EP, 2014), 《0 mouth》(EP, 2016), 《Parted Songs》(LP, 2013, 2015, 2020), 《조월+최태현 - 거울과시체》(LP, 2015), 《THSS - Hop HopHop》(LP, 2017), 《Cargo Cult》(LP, TAPE, 2020) 등의 음반을 발표했다.
 
 
사운드 스케이프 바로가기
최태현 "묘박지"
 
 
사운드 콘서트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