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마르니 웨버

조회 2,212

관리자 2020-09-04 09:53

1959년 미국 브리지포트 출생

현재 로스앤젤레스 거주

마르니 웨버, 〈바다 마녀의 노래〉, 2020,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마네킹, 코스튬, 의자 외, 가변크기

Marnie WEBER, Song of the Sea Witch, 2020,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 mannequin, costumes, chair..., variable dimensions

Courtesy of the artist and Simon Lee Gallery

마르니 웨버의 작업은 퍼포먼스, 비디오, 조각, 설치, 음악을 아우르고 있다. 그는 환상과 현실, 기괴한 마법 사이를 떠도는 어둡고 기묘한 꿈 같은 세상을 만들어낸다. 웨버가 창조한 으스스한 내러티브와 배경을 바탕으로 만들어지는 설치 작업에는 화려한 의상과 날개, 가면으로 변장한 여성 마네킹이 거주한다. 이 피조물은 그로테스크한 반인반수의 모습이다. 웨버의 작품 속에서 짧은 발레복을 입은 뚱뚱한 곰은 서양식 살롱에서 울고 있는 광대만큼이나 평범한 존재이다. 신화적으로 의인화된 동물들은 마르니 웨버가 지난 30여 년간 진행해온 사진, 콜라주 작업에서도 자주 찾아볼 수 있다. 〈The Jellyfish Afternoon(1998), 〈One Hundred Bunnies Wait for Century Plant to Bloom〉(1998), 〈Behold I Am Alive Forevermore〉(2010) 또는 〈The Owl〉(2018) 같은 작품은 작가가 작품에서 어떻게 이미지와 내러티브를 뒤섞고, 자르고 붙이는 기술을 사용하는지 보여주는 예시이다. 카니발적 분위기의 작품은 B급 영화와 저렴한 할리우드 제작 무대 세트에서 멀지 않은 영화적 퀄리티를 보여준다. 2016년 스위스 MAMCO에서 열렸던 작가의 회고전의 전시제목 《Once Upon a Time in Forevermore》는 그의 동화적인, 흡사 〈오즈의 마법사〉같은 미학과의 관계를 제안한다. 이러한 신고딕의 양식적 설화에 대한 환각은 억압된 미국 대중 문화 요소를 보여주며, 월트 디즈니, 찰리 맨슨, 그리고 도착적인 데이비드 린치와도 같은 환상을 동시에 껴안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