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6,813
관리자 2018-08-20 20:16
수잔 트라이스터
헥센 2.0 / 역사적 도표들 / MK 울트라 계획에서 반문화를 거쳐 테크노가이아니즘으로
헥센 2.0 / 역사적 도표들 / 아르파넷에서 인터넷을 거쳐 다르와스로
헥센 2.0 / 역사적 도표들 / 국가사회주의에서 사이버네틱스와 메이시 회담을 거쳐 신-전체주의로
헥센 2.0 / 타로
이번 비엔날레에 전시된 프린트 작품의 기저에도 매우 흡사한 부조리적 특성이 자리 잡고 있다. 독일어로 ‘마녀들’을 뜻하는 〈헥센〉이라는 제목의 연작 중 일부인 이 작품의 구성 요소를 살펴보면, 악명을 떨친 이 시대의 인물들을 구시대적이고 그럴싸한 우주론과 연관 지은 타로 카드, 할리우드와 군 방위 산업과 컬트 간의 연결 고리를 찾는 난해하면서도 밀도 있는 음모론 마인드맵, 그리고 이러한 주제들을 아우른 다큐멘터리 같은 필름 등으로 다양하다. 이번 비엔날레에는 2006–11년 사이에 제작된 작품들을 ‘지클레이’ 프린트 방식으로 다시 제작한 작품들이 선보여진다. 도식적 묘사 방식, 유기적인 드로잉, 텍스트 등의 요소를 활용한 현란한 패턴으로 구성된 이 작품들은 미국 반체제 민중 영웅들을 특히 ‘기술가이아주의(테크노가이아니즘)’의 등장과 관련 짓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