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18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 미래의 역사

조회 17,607

관리자 2018-08-20 20:15

작가더 프로펠러 그룹

<미래의 역사>, 안쪽에 재료를 주입하는 실리콘 몰드, 주조한 페이저 총, 날짜 측정기가 달린 금고, 두 개의 싱글채널 비디오, 나무 받침대, 가변 크기, 2012, 제임스 코핸(뉴욕), 작가 제공

더 프로펠러 그룹
미래의 역사

이번 비엔날레에서는 〈미래의 역사〉(2012)가 전시된다. 세 가지 각기 다른 매체로 구성된 이 작품은 과거, 현재, 미래라는 시간의 맥락 속에서 존재와 가치의 개념을 재고하도록 이끈다. 먼저 세 파트 중 조각 작품은 1966년 TV 연재물로 데뷔한 미국의 유명 공상 과학 시리즈 〈스타 트랙〉에 등장하는 소품용 소총의 디자인을 차용해 제작되었으며 그 표면에 18세기 베트남의 전통조각 방식으로 새겨진 꽃 문양을 두르고 있다. 픽션의 일부인 소총의 겉모양을 익숙한 전통 양식으로 장식했을 뿐인데 역설적이게도 이 오브제는 다소 이질적이고 생경한 느낌을 주고 심지어는 좀 더 ‘공상 과학적’이기까지 하다. 이로 인해 이 ‘미지의 물건’ 안에 과거와 미래가 모두 공존하는듯하다. 소총 조각 작품과 함께 설치된 단편 비디오 작품에는 어렸을 적 누구나 한 번쯤 만들어 본 타임캡슐을 다루듯이 이 조각 작품을 사회와 격리된 곳에 파묻고자 길을 떠나는 작가들의 여정이 담겨 있다. 이들의 여행길은 GPS 좌표를 따라 기록되며 향후 100년 동안 비밀로 묻힌다. 이 좌표정보는 날짜 측정기가 달린 금고에 보관되어 있는데, 이 시대 불명의 물체를 묻은 날로부터 100년 후로 설정된 카운터의 숫자는 0을 향해 점차 줄어들고 기약된 날이 되면 그 좌표가 공개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