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2 밖에서

조회 15,572

관리자 2013-03-25 10:16

작가최선아
본전시


밖에서

최선아가 “배움의 정원”을 위해 선택한 두 작품에서는 ‘리듬과 흐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 입구 로비 위 2층에 자리한 <바다의 자락>은 자동 이동장치다. 20세기 전시 디자인에서는 커튼이 자율적 형식 요소로 (1927년 릴리 라이히와 루드비히 미스 반 더 로에 가 함께 창조한 ‘벨벳&실크 카페’에서의 열린 공간은 커튼들로만 이루어진 칸막이였다.) 사용 되었지만, 최선아의 설치는 커튼을 동적 요소로 바꾼 것이다. 작가의 계획에 따라 커튼은 해운대 바닷가의 부딪치는 파도와 움직이는 기계 역학 사이에서의 부정확한 번역을 처리한다. 그러니까 커튼의 움직임과 그 움직임 사이의 간격을 조종하는 모듈이 어떤 패턴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다섯 개의 슬라이드 프로젝션에서 그녀는 부산의 특정 장소 이미지를 보여주는데, 그것은 그가 여러 해 동안 촬영하고 수집한 사진들이다. 이 사진들은 최근 같은 장소에서 찍은 새 이미지들과 배치되어서 앞으로 다가올 실제적인 한국의 환경 변화를 설명하고 있지만, 또한 일련의 이미지와 특정 장소를 보여줌으로써 전기적 서사를 암시하기도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