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참여작가

전제 작가 보기

이전메뉴 다음메뉴
참여작가전제 작가 보기

송민정

조회 2,377

관리자 2020-09-03 22:53

1985년 한국 부산 출생

현재 서울 거주

송민정, 〈야생종〉, 2020, 단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스테레오), 혼합매체, 22

SONG Minjung,Wild Seed, 2020, Single channel video, color, sound(stereo), mixed media, 22min

송민정은 설치와 영상을 통해 물리적인 것과 비물리적인 것의 관계가 혼합된 세계를 관찰한다. 작가는 온라인과 오프라인 캐릭터와 재현물 등을 통해 보여지는 정체성, 젠더, 신체와 비신체, 장애인과 트랜스 정체성 등의 동시대적 주제를 표현한다. 송민정은 4차산업혁명 현상에 매료되었는데, 이는 언택트소비와언택트커뮤니케이션, 즉 소비자/시민이 다른 소비자/시민과 면대면 만남을 갖지 않는소비와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로봇과 인공지능이 개발되는 것이다. ‘언택트사회는 몸과 테크놀로지(스크린)의 상호작용으로 인하여사회적 접촉이 최소화되는 사회다. 오늘날에는 다중인격, 닉네임, 온라인의 (신체)프로필을 갖는 것이 가능하며 송민정은 이런 트랜스 정체성의 몸을 추적하고 기록하며 이것의 가치 체계를 탐구한다. 송민정은 사회적 접촉, 사회적 정상성 그리고 사회가 어떻게 이러한새로운신체 유형을 특정 규범을 통해 규정짓고 틀 지우는가에 의문을 던진다. 〈Window〉(2019)에서 송민정은 과거, 현재 그리고 미래를 뒤섞어 19세기 후반의 빈, 1899년의 프랑스, 1901년의 러시아, 2020년의 서울에서 살아가는 네 명의 여성의 이야기와 경험, 불안, 그들의시대에 관해 이야기한다. 〈Window〉는 존재의 ()신체 상태 속에서 다른 시대를 살아가는 네 가지 목소리의 언어와 융합된 내러티브를 다룬다. 한편, 〈AKSARA MAYA〉(2019)에서는 롤플레잉 게임의 인터페이스를 도입하여 신체와 정체성의 문제라는 비물리적인 관계를 표현했다. 두 작품 모두 시간과 (여성)신체를 거의 액화된 상태로, 인간의 물리적 존재가 테크놀로지 속으로 융화되는 왜곡된 시간 속에서 보여준다.

작업을 진행하고 생산하는 데 있어서 송민정의 방법론은 우리가업로드하는 것과유저비디오 플랫폼과 커뮤니티(유튜브나 인스타그램 혹은 트위터)로부터 알고 있는 것들과 유사하다. 작품 〈Talker〉(2019)에서 작가는 유튜브에서 V-log(비디오 블로그 또는 비디오 로그)라고 알려진 스토리텔링 기법을 빌려온다. 우리는 유령과도 같은 서사를 들려주는 증강현실 강아지를 쫓는데, 이것은 거의 실제와 같은 경험을 만들어내기에, 한 강아지와 강아지의 주인에 관한 다큐멘터리 같아 보인다. 우리의 신체는 지속적으로 광고와 우리의 사회환경을 통해 보여지고, 논의되고, 그것과 타협하기에 우리는 신체 규범과 완벽한 신체라는 개념에 영향을 받는다. 온라인 상에서 우리는 완벽한 몸과 아바타를 추구하고 창조해낼 수 있기 때문에 우리는 일시적으로 몸무게를 줄이고 코 수술을 하며, 자신의 이중-신체(body-doubles)를 만들어낼 수 있다. 이것은 이상적인 신체라는개념에복잡성과 부조리함을 더한다. 송민정은 어떻게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가 작동하는가에 골몰해 있으며21세기의 온라인과 오프라인, 실재와 가상의 관계와 물질성이란 무엇인지, 또 정상성의 환상이 무엇인지를 논의하기 위한 장치로서 SNS를 사용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