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 거꾸로 흐르는 시간 속에서 긴급성도 사라졌다(그런 와중 이 긴급성은 계속 지연되는데) #2

조회 16,260

관리자 2018-08-20 20:02

작가플라카 할리티
<거꾸로 흐르는 시간 속에서 긴급성도 사라졌다(그런 와중 이 긴급성은 계속 지연되는데) #2>, 혼합 재료, 아크릴유리, 벽지, 라커, 알루미늄 매트, 가변크기, 2018, 데보라 샤모니 갤러리, 작가 제공


플라카 할리티
거꾸로 흐르는 시간 속에서 긴급성도 사라졌다(그런 와중 이 긴급성은 계속 지연되는데) #2

이번 비엔날레에서 할리티는 구 한국은행 부산본부에 설치 작품 〈거꾸로 흐르는 시간 속에서 긴급성도 사라졌다(그런 와중 이 긴급성은 계속 지연되는데) #2〉 (2018)를 선보인다. 일련번호 ‘#1’로 표기된 동명의 전작은 코소보평화유지군의 주둔지에서 발견한 물건을 재활용하여 제작한 초록색 로봇이 앉아 있는 자세로 설치된 작품이다. 두 번째 버전에서는 같은 방식으로 제작된 청록색 로봇이 알루미늄 재질의 바닥에 누워 있는데, 팔꿈치와 무릎을 바닥에 대고 누운 채 한쪽 팔로 투명한 머리의 턱을 괴고 발을 뒤로 재껴 올린 10대 청소년처럼 묘사되었다. 로봇 뒷 편의 벽에는 육각형 무늬가 가득 차 있고, 또 플렉시 글라스로 제작된 한 쌍의 빨간색 날개가 걸려 있어서, 마치 이 로봇이 르네상스 시대의 회화에 나올 법한 천사처럼 보이기도 한다. 우울해 보이는 이 로봇은 한편으로는 귀엽기도 한데, 이것이 은유하는 바는, 마치 관객이 미래의 어느 순간에 당도한 듯한 시나리오 안에서 (작품 제목에 함께 사용된 ‘거꾸로’와 ‘지연’이라는 두 단어가 시사하는 바와 같이) 엇갈리는 시간이다. 시간의 굴레, 즉, 칙칙한 전후 현실에 갇혀 버린 것 같은 기분에서 자유로워질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