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 오염된 혀

조회 15,085

관리자 2018-08-20 16:34

작가이민휘 & 최윤
<오염된 혀>, 싱글채널비디오, 사운드, 6 개의 비디오 프로젝트(#Virallingua), 15분, 2018, 작가 제공, 2018부산비엔날레커미션


이민휘 & 최윤
오염된 혀


이민휘와 최윤은 이번 비엔날레에서 협업 프로젝트 〈오염된 혀를 선보인다. 인터넷을 중심으로 바이러스처럼 자생, 확산하는 정보의 유통 방식을 적극 활용하는 ‘바이럴 마케팅’에 주목해 여기서 ‘바이럴’이라는 개념을 차용했다. 한국 사회에 소리 없이 스며들었다가 사라지고 형태를 바꾸어 가며 재차 등장하는, 냉전이 남긴 이데올로기의 흔적을 파편적인 여러 개의 곡과 영상으로 제작했다. 이 ‘음악 영상’은 두 태양을 양쪽 눈에 품고 나라에 이별을 고하는 여인의 애절함을 담은 〈나라야〉, 저 멀리 어딘가에서 들려오는 익숙한 괴성으로 가득 찬 〈야생화〉, 출처를 알 수 없는 각종 소문과 비밀이 계속해서 전이되는 〈입에서 입으로〉, 먹고 살기 위해 둘 중 하나가 이겨야 하는 한 쌍둥이의 겨루기를 이야기하는 〈아와 어가 살기〉, 구멍 뚫린 몸이 먹고 먹히는 것을 반복하는 〈속앓이〉, 시나리오처럼 이미 짜여진 미래를 앞에 두고 조울증을 앓으며 혼란스러워하는 인물을 그려낸 〈울고 웃는 미래를 믿지 마시오〉 등 여섯 편의 연작으로 구성된다. 이 ‘음악 영상’은 국가를 향한 그릇된 애정, 사회 내 첨예한 경계에서 촉발되는 소외와 폭력, 본질이 호도된 사실, 생존과 경쟁 등 한국 사회의 복잡다단한 층위와 그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의 다중적인 심리 상태를 은유한다. 이 작품은 또한 이와 같은 징후가 과거와 미래를 구분하지 않고 반복되며, 출처가 불분명한 상태로 입에서 입으로, 몸에서 몸으로 전해지는 양상을 시사한다.
구 한국은행 부산본부에 전시된 이 작품은 비엔날레 전시 개막에 앞서 짧은 예고 영상으로 SNS에 공개되었다. 이와 같이 바이럴 마케팅 전략을 연상시키는 형식은 자신의 이념만을 앞세운 프로파간다를 상대 진영에 침투시키고자 했던 냉전 시대의 미디어 조종 전략을 떠올리게 한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