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8 민요, 저곳에서 이곳에서

조회 15,483

관리자 2018-08-20 19:42

작가주황

<민요, 저곳에서 이곳에서>, 4K 비디오, 6분 45초, 가변크기, 201, 작가 제공, 2018부산비엔날레 커미션 <도문 #9>, 디지털 C-프린트, 28 x 16 cm, 2018

<도문 #10>, 디지털 C-프린트, 28 x 18 cm, 2018
<도문 #8>, 디지털 C-프린트, 28 x 16 cm, 2018
<도문 #1>, 디지털 C-프린트, 28 x 18 cm, 2018
<도문 #7>, 디지털 C-프린트, 45 x 30 cm, 2018
<도문 #5>, 디지털 C-프린트, 75 x 50 cm, 2018
<도문 #4>, 디지털 C-프린트, 40 x 60 cm, 2018
<도문 #2>, 디지털 C-프린트, 45 x 30 cm, 2018
<도문 #3>, 디지털 C-프린트, 45 x 30 cm, 2018
<도문 #6>, 디지털 C-프린트, 50 x 75 cm, 2018, 모두 작가 제공, 2018부산비엔날레 커미션

주황
민요, 저곳에서 이곳에서
도문 #1

도문 #9
도문 #10
도문 #8
도문 #1
도문 #7
도문 #5
도문 #4
도문 #2
도문 #3
도문 #6


근래 작가는 한국 근현대사의 흐름 속에서 중국, 일본, 연해주, 중앙아시아 등지로 자의 혹은 타의에 의해 이주를 감행했던 ‘코리안 디아스포라’에 주목한다. 이번 비엔날레에서 처음 소개되는 작품 〈민요, 저곳에서 이곳에서〉(2018–)는 중국과 북한의 접경 지역을 담은 풍경 사진과 중국, 일본, 중앙아시아 등지에 살고 있는 동포가 한국 민요를 부르는 모습을 근접 촬영한 비디오 설치 작품으로 구성된다. 작가가 코리안 디아스포라의 역사와 궤적을 되짚기 위해 주목하는 출발점은 바로 민요이다. 민요는 공동체에서 자생한 민중의 노래다. 구전되는 과정에서 리듬이 조금씩 변조되고, 상황에 따라 개사되기도 한다. 시대와 지역뿐만 아니라 삶을 공유하는 공동체에 따라 민요는 자연스럽게 변화한다. 따라서 민요의 가락과 가사를 통해 공동체의 삶과 그 궤적, 그리고 문화적, 사회적 여건을 어렴풋이 반추할 수 있다. 주황의 영상 작품 속 동포들의 노래를 가만히 듣고 있으면 익숙하면서도 이내 이질감이 느껴진다. 영상의 절제된 구도 안에 보이는 움직임과 표정의 미묘한 차이, 그리고 변이된 노래를 통해 우리는 단절된 시간과 물리적 거리에서 발생한 문화의 간극을 가늠할 수 있다. 국경이라는 경계와 국적이라는 집단적 소속을 떠나 문화를 공유하는 공동체로서의 코리안 디아스포라는 급변하는 남북 관계와 한반도 주변의 정세 속에서 주목해야할 역사의 일부이며 재고해야 할 실질적인 문제이다. 동포의 민요를 지표 삼아 주황은 이들 삶과 문화에 잔류하는 공통의 역사, 그리고 동시대 한국과의 차이를 분석함으로써, ‘민족’이라는 공동체의 폐쇄적이면서도 때로는 유연한 정체성을 사유하는 기존의 방식을 되짚어 본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