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0 어둠의 왼손(어슐리 K. 르 귄을 기리며)

조회 13,639

관리자 2011-04-11 22:50

작가앤 리즐가르드
리즐가르드는 사진과 영상, 디지털 에니메이션에 빛, 소리, 문자 등의 요소들을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는 작가다. 이번 전시회에 출품하는 <어둠의 왼손(Left Hand of Darkness)>는 더욱더 직접적으로 관객의 심리에 호소한다. 이 작품은 1966년 어슐러 르 귄(Ursula K. Le GUIN)이 쓴 동명소설을 기본으로 한 3개의 영상으로 이루어진 작품이다. 그러나 이번 작품은 소설속의 스토리와 공간 등을 정밀하게 재현하는 방식의 작품이 아니다. 리즐가르드는 이 소설의 스토리적 요소 이상으로 개체의 “성(Gender)”이 불확실하게 상호 교환된다고 하는, 이 소설의 중심적인 세계관에서 그 착상을 얻고 있다. 3면의 스크린에는 끝없이 움직이는 기하학적 모양과 귄의 텍스트와 춤추는 여인, 그리고 인체의 성기부분의 해부도 등의 영상들이 무작위로 흐른다. 이러한 영상들은 모두 흑백이면서도 시각적, 기하학적 모양의 반복, 격렬한 빛의 명멸, 그리고 거센 사운드 등에 의해 보는 이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의 감각을 잃어버리게 한다. 그리고 동시에 인류가 자신의 “성”을 넘어, 새로운 신체를 얻게 되는 것 같은 착각을 주기도 한다. 이러한 그녀의 작품을 보는 관객들은 신체의 변용에 대한 두려움과 동시에 초월적인 시공간으로 향하는 황홀감에 빠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