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0 1. 별 속에서 노는 사타 2. 별 속에서 노는 사타#3 3. 별 속에서 노는 사타#2

조회 13,650

관리자 2011-04-11 22:46

작가사타
작가는 자신의 과거기억들을 구성/촬영한 사진과 인터넷상에서 채집된 이미지들을 조합하여 초현실주의적이고 몽환적인 이미지를 만드는 작업을 주로 해 왔다. 그의 초기 작업은 대부분 강렬한 색감과 내러티브를 바탕으로 의식과 무의식의 경계를 뒤흔들고 있으며 기발한 상상력을 바탕으로 자유롭게 이미지들을 결합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되었다. 인터넷 웹 사이트를 통해 활동반경을 넓혀왔던 작가는 논리와 시ㆍ공간이 붕괴된 이미지들을 통해 무의식의 지층을 분절하면서 관람자의 경험, 꿈, 상상 등 다양한 기억과 조우하도록 만든다. 이번에 출품하는 시리즈 작품은 사진뿐만 아니라 동영상으로 제시되기도 하는데, 컬러가 사라져 있다는 점에서 일반적인 그의 작품과는 표면적으로는 다른 지점들이 있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가 포착한 상황을 특유의 감성을 바탕으로 초현실적인 방식으로 풀어내고 있다는 사실은 그의 이전 작업과 일정정도 연속선 위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작가는 어느 날 저녁 무심코 내린 지하철역 인근의 텅 빈 공원 주차장 가로등 아래에서 자신만의 세계를 탐닉하면서 의식과 무의식을 넘나들고, 정지된 시간과 무한한 공간과 만나며 자신만의 소우주를 상상한다. 어둡고 텅 빈 공간에 홀로 중력과 무관한 듯 불안정한 자세로 촬영된 작가 자신의 동세와 프로그래밍된 동일한 반복이 아닌 항상 다른 흐름으로 공간을 떠다니는 불빛들은 개인의 의식과 다른 차원의 시공간과의 만남 사이에서 일어나는 묘한 심리적 변화와 의식의 확장, 그리고 상상의 세계로 초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