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6 블루, 화이트, 레드, 그린

조회 18,736

관리자 2009-08-26 15:43

작가샘 듀란트
모더니즘의 신화 해체에 주력하는 샘 듀렌트는 건축과 대중음악에 관심이 많다. 작가는 다양한 문학이나 문화적 원자료에서 이미지들과 인용구들을 빌려오거나 복제하면서, 특히 대중음악이 만들어낸 집단의 기억이나 체험과 같은 기록적 증거에서 드러난 역사에 주목한다. 이번의 출품작은 한 판으로 찍어낸 플라스틱 의자를 중국 서문(西門: Xiamen)의 도요에서 자기로 복제해 만든 것이다. 이 복제품은 어떤 주형틀도 없이 중국의 도공들이 완전 수공으로 제작한 것이기에 기계적으로 제작되는 오리지널의 역설적 관계를 보여준다. 모더니스트 가구 디자이너들이 꿈꾸었던 가구의 대량생산이 오늘날 글로벌 경제와 포스트 국가주의 자본 체계에 의해 모더니스트의 꿈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실현 될 수 있다면, 이를 복제한 모조 도자기 의자를 통해 우리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교환가치체계의 의미를 되새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