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스포츠 우먼

조회 16,488

관리자 2005-08-06 14:14

작가올레그 쿨릭
지난해 쿨릭의 프로젝트였던 창, 슬로건, 자연 박물관 혹은 새로운 천국, 그리고 새로운 박물관(Windows, Slogans, Museum of Nature or the New Paradise, as well as the new Museum)은 유토피아적인 동시에 교화적이다. 창과 자연 박물관(Windows and Museum of Nature)에서 한 인간의 형상이 자기 자신의 영상과의 복잡한 관계에 관여를 하는 반면, 박물관(Museum)에서는 그 똑같은 형상은 자연스러운 밀랍 인형 작품을 통해서 완전한 무게의 정체성과 크기를 갑작스럽게 되찾는다. 이 기술은 핸슨에서 뮤익으로 또 카텔란의 '쓰러진 교황'이나 '히틀러'에 이르기까지 예술에서는 잘 알려져 있다. 이 모든 경우와 마담 터소 밀랍 인형 박물관 혹은 그보다 앞서 쿨릭의 '톨스토이'와 '치킨'의 경우, 밀랍 인형은 살아 있는 사람인 척 하는데 사용되었다. 쿨릭의 새 작품인 '박물관'에서는 밀랍 인형은 속을 채운 인간의 신체이다. 쿨릭은 "비록 문화의 적극성을 보호하는 게 아니라 드러낸다 할지라도, 동물학 박물관에서의 자연과 마찬가지로 문화는 보호되어야 한다." 라고 말한다. 시각적이고 명확한 박제용 봉합도 마찬가지다. 이 봉합자리를 보고 있으면 박물관들이 생각난다. 박물관에는 성긴 실로 바느질이 된 박제된 야수들이 영원하지만 (인간의 노력으로 인해) 속이 텅 빈 삶을 보여 주고 있다. 한가지 다른 점이 있다면, 쿨릭의 '박물관'에는 예상치 못한 포즈를 하고 있는 강하고 아름다운 여성들이 있다는 것이다. 한 여성은 십자가 점프를 하고 있고 다른 한 명은 목을 매달고 있다. 이는 성적인 정신병 환자들의 박물관이 아니다. 비록 전적으로 남성적 견해를 보이고 있긴 하지만, 작가는 문화적 시각은 남성의 시각이라는 잘 알려진 명제를 언급한다. 목이 매달린 여성들은 박물관 특유의 영원한 고통을 겪을 운명인 것이다. 비록 쿨락은 대중문화의 유령들을 불가해하게 만들었지만, 이 유령들은 여전히 쿨락이 살아 있는 진짜 인간 여자들을 박제로 만든 것이 아닌가 하는 음울한 느낌을 남긴다. 이 여자들은 스포츠우먼(Sportswoman), 여배우(Actress), 마돈나(Madonna)의 분명한 특징들(땋아 내린 머리, 마름모꼴 드레스, 가짜 원뿔 모양의 가슴 등의)을 가지고 있다. '박물관'은 예술에는 틀에 박히지 않은 현실적 공간이 존재한다는 쿨릭의 유토피아적 이론을 설립하는 다음 단계이다. 현실은 이미 받아들여진 미적인 규칙에서부터 궁극적으로 멀어 질 때에만 스스로를 나타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