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드렁크

조회 16,811

관리자 2005-08-06 13:36

작가질리언 웨어링
가로 4미터 세로 3미터 크기의 연이어 설치된 3개의 대형 스크린 위에 투사되는 질리언 웨어링의 3채널 비디오 작업을 바라보는 관람객들은 곤혹스러운 경험을 하게 된다. 더 이상의 자신의 몸을 가누지 못하는 사람들의 신체는 흰 바탕을 배경으로 일부분만이 분할되어 스크린 프레임 안에 나타난다. 더욱이 일정한 거리에 고정된 카메라가 정면에서 포착하는 시선이 철저하게 주관적 관점을 배제하고 있을 뿐 아니라 모든 장식을 없앤 흰색 배경화면은 차갑게 느껴질 정도로 중립적인 분위기를 시사한다. 이에 반해 알코올 중독자인 등장 인물들은 연기자들이 아니라 정말 진짜인 것처럼 보인다. 그들은 넘어지고 주저 앉거나 서로 치고 받기도 하고 심지어 가장 단순한 동작조차 수행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때로는 더 이상 자신들의 신체를 주체하지 못한 탓에 고통스럽게 스스로를 포기하면서 서로를 끌어 안는 장면은 연민을 불러일으키기에 충분하다. 이와 같은 이미지의 형식과 그 내용의 대비를 통해 보는 이들은 때로는 분노와 때로는 공감을 느끼면서 그것이 정서적이건, 사회적이건 아니면 정치적이건 간에 이 세상에 대한 삶의 끈을 놓아 버리고픈 욕망에 의해 서서히 매혹된다.
여러 다양한 영국 사회 집단들의 탐구로 잘 알려진 작가는 여기서도 알코올 중독자 그룹과 관람객 사이의 모방적 충동(mimetic impulsion)을 탁월한 방식으로 유도해 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