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버스

조회 17,920

관리자 2005-07-30 16:44

작가율 혼디우스
이 사진들은 연출 된 것이다. 사실상 거의 모든 혼디우스의 이미지들은 이동성 및 국경선, 그리고 밀수나 기타 범죄, 내전, 국경선을 건너 몰래 들어 오는 이민자들과 같은 부수적인 문제들과 관련이 있다. 혼디우스는 정치적으로 논란을 될만한 장면들을 그럴듯하게 묘사함으로써 한 가닥의 인식을 불러 일으켰다. 이런 면에서 그의 작품들의 배경은 사실에 기반한 일종의 픽션이라 할 수 있다. 그의 작품들은 언론의 메시지나 보도 사진에 가깝다. 또한 사람들의 개인적인 문제가 마치 실제 상황인 것처럼 그의 사진에 해설이 들어가 있다. 처음에 보면 사진 속의 물체와 사람들은 평범해 보이고 쉽게 구별이 가능하지만 어떻게 이런 모습이 존재 할 수 있었는가는 확실치않다.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이 형상들은 마치 비밀을 간직한 세상의 일부인 냥 위협적인 분위기를 풍긴다. 그렇기 때문에 사진을 보는 이에게는 통제 불능으로 남게 된다. 마지막 사진은 아주 엄격한 배경을 따르고 있다. 의상이나 태도, 포즈의 선택이 아주 정확하고 아무것도 우연한 것은 없다. 장소나 시간 사람에 대한 사실적인 언급이 배경에 맞아 떨어 지거나 아니면 이미지에서 사라진다. 그의 주된 관심사는 이미지가 정확한가 아니라 현재를 비판적으로묘사하는데 있는 듯 하다. 혼디우스의 작품은 우리의 집단적인 기억에 호소하는 '정신적인 이미지'를 보여 준다. 그럼으로써 무대의 주인공들에게서 주의를 돌리게 만드는 모든 사실적인 내용들을 피하게 하는 것이다. 비록 혼디우스가 노련한 솜씨로 시각적인 상투어를 사실적으로 묘사함으로써 사진을 '자연스럽게' 구성하는 문제를 해결하고 있기는 하지만, 그의 주된 관심사는 상투적이긴 하나 새로운 이미지들이 일종의 병적인 도상(이 도상은 일용품 및 자본, 인력이 국경선 없이 이동하는 것에 대해서 만연해있는 공포와 환상에서 시작함과동시에 조장한다.)의 일부를 구성하는 그 방식에 있는 듯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