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서커스, 오! 서커스

조회 17,748

관리자 2005-07-30 16:39

작가이샛별
서커스가 원, 순환이라는 의미도 품고 있을뿐더러 우리 근대사 자체가 서커스처럼 과잉, 키치, 과시적 양상을 띠면서 악순환 되어온 성격을 비유

화려한 꽃들이 벌레처럼 기어 다니는 큐브 속으로 들어가면서 관람객은 가상의 인공화원으로 진입하게 된다. 큐브 속 다섯 면(벽면과 천장)은 한 면마다 다른 꽃들로 뒤덮이게 되는데. 색색의 이 꽃들은 몇 송이의 꽃들이 여러 개로 복사되어 반복, 재배치되는가 하면 다른
종류의 잎사귀와 꽃잎이 서로 몸체를 구성하면서 하나의 종처럼 존재하기도 한다. 그것들은 생명의 황홀과 향기, 매혹적 자태를 지닌 천연의 꽃들이 아닌 자연의 욕망을 모방하는 조작된 꽃이며 통제되고 길들여진 다섯 개의 화원을 만든다. 그곳은 우리의 가망 없고 전망 없는 블랙홀 같은 욕망을 향한 유혹. 자연을 양육하고 구성할 수 있다고 믿는 허욕의 공간이며 사이비가 진정성을 우롱하고 가짜가 진짜의 무력함을 폭로하는 중첩된 모순의 공간이다.
판타지 속의 또 다른 판타지인 서커스는 과잉의 몸놀림으로 시각적 쾌락을 선사했으나 근대의 진행과 함께 자연의 육체가 아니라 사이비 육체들이 위험한 곡예를 대신해 주면서 서커스의 주인공들은 문명의 경계 밖으로 소외된다. 그들은 더 이상 스펙터클을 생산하는 주체가 아니며 쾌락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전복된 한국 근현대사에 대한 상징으로 작용한다.
인공의 화원인 이 허상의 공간이 경계를 넘어서 중심과 주변의 전이가 이루어지는 유쾌한 상상의 공간으로 작용한다면 음성적으로 남아있는 강요된 욕망과 황폐한 권력을 통제하는 사유는 회복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