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조회 17,954

관리자 2005-07-30 16:36

작가올루 오귀베
올루 오귀베의 설치작품 “재”에서 볼 수 있는 것은 빈약한 색감에 초점이 맞춰지고 의미가 딱히 정해지지 않은, 중심에서 벗어나게 재로 싸여 세팅된 회색이다. 그 작품을 보면서 우리는 쓸쓸한 안정감을 가지게 되는 실제적인 첫 번째 작품감상자가 된다. 무엇이 중심인지 뚜렷이 구분하기 힘들지만, 어린 시장 상인의 일상생활 속으로 어렴풋이 빠져들게 하는 확실한 힘은 있다. 작가 자신이 버린 듯한 천 조각들을 포개어 모아둔 것에서 연상되는 것들을 말하자면 아래와 같다.
작가가 스스로무언가에 투자한 뒤의 한없는 기다림, 정돈되지 않은 침대, 부재자의 자리, 먼지와 물이 엉망으로 나뒹군듯한 모습, 최근 사건을 기록한 일기의 중심 골자, 침대 가에 놓아둔 사진 액자, 무엇이 일어났는지 알고 있는 증인의 닫힌 입, 아직도 시간을 알려주는 팔찌시계, 멈춰버린 자명종시계, 우정의 따듯함 속에서 보낸 지난밤의 사건에서 생긴 변화, 부재자의 신분을 밝힐 지폐다발..
.제대로 된 서랍옷장, 벽에 붙어있는 눈에 띄지도 않는 사진 액자, 제대로 정리 안 된 바닥에 세워진 외로운 서류가방, 폼페이에서처럼 재난 후에 내려진 먼지속의 축복.
폭력의 흔적은 없으나 재로 생긴 충적층과 세상에 경고하고 있는 작은 경종을 모든 곳에서 찾아 볼 수 있다.
시기적절한 그리고 시기적절하지 못한 설치작품은 개인적인 과거를 회상시키는 액자속의 상장과 함께 전시되고 있다. 날짜, 요일, 계절, 잘못 표기된 휴일, 사람등 등은 레딘의 정신적 고통을 나타내고 있다. 질서와 무질서의 세계적 문제인 비무장지대 DMZ를 보여주는 것이 이 작품 “재”이다.
오귀베는 대참사, 전쟁, 고통 등의 주제로 십년이 넘게 활동해왔으며 1995년에 오클라호마 연방 빌딩 참사의 희생자를 기리는 기념관을 만들었다. 이 재난들을 직접 목격한 사람이나 이로 인해 가까운 사람을 잃은 사람에 대한 그의 개인적 상실에 대한 슬픔, 기념 방법, 정신적 회복이 그의 전시작품에 투영되어 있다. 2000년도에는 몇 달간 세계무역건물에서 거주하는 예술가로 활동하기도 하였다. 이러한 그의 예술가적 중심 생각과 비유는 재난과 회복이라는 의미를 “재” 라는 소재에서 찾고 있다. 유한성의 제한이라는 면에서 그는 도피, 발생, 희망의 양육이라는 생각을 추구하는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