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스필버그 리스트

조회 16,394

관리자 2005-07-30 16:13

작가오머 패스트
스필버그의 목록은 두 개의 채널 비디오로 구성된 '스티븐 스필버그'의 영화 '쉰들러 리스트' 제작 과정에 참여한 엑스트라의 경험에 관한 것이다. 스필버그는 크라코우에서 그의 영화를 촬영하였고 영화의 배경이 되는 그 지역 역사적 사건의 재현을 위해서 수 백 명의 지역 주민을 고용하였다. 대부분의 엑스트라들이 그들이 어렸을 때 역사적 사건을 겪었을 정도로 나이가 들었다. 역사적 사건을 직접적으로 경험한 그들은 역사적 사건들이 영화가 되고, 기억들이 영화의 설명이 되는데 걸린 50년의 세월을 고려하지 않았다. 기억, 자료, 영상과 설명의 빠른 붕괴도 또한 현장에서 필연적이었다. 완전히 철거되지 않은 이전의 수용소에 새롭게 수용소의 세트장을 공들여 만들었다. 망가지고 반쯤 땅에 묻히고 크게 눈에 띄지 않는 이 두 수용소는 서로 절묘하게 혼합되어 시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더 큰 현실감을 가지고 있다. (쉰들러 리스트 투어가 여행자들 대상으로 일년 내내 실제 수용소와 영화가 찍힌 수용소 세트장에서 행해지고 있다. 영화가 크라코우에 있는 이전 유대인 게토인 카지미에르의 경제와 여행 산업의 부흥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한 것이다. )
쉰들러 리스트 여행 동안 기록된 조각들 뿐만 아니라 지난 시절에 대한 기록으로부터 사건을 묘사하는 엑스트라의 인터뷰를 플라스조우 캠프에서 이웃 하고 있는 플라스조우 캠프 세트장으로 향하는 길 중간에 넣고 혼합하고 편집하여, 역사가 영화활 될 때 그 의미가 변질될 수 있기 때문에, 비디오는 의도적으로 물질적이고 전경에 대한 기억과 위치를 난폭하게 다루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