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기억의 전쟁

조회 16,636

관리자 2005-07-30 16:04

작가임흥순
이 작품을 통해 단지 기억의 문제라든가 베트남 전쟁에 대한 역사적 진실을 밝혀내야겠다는 것은 아니다. 베트남 전쟁은 이미 기억 저편에 놓아 둔 채 베트남과 한국의 경제, 문화 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피해자의 시선은 물론 우리에게 익숙하지 않은 가해자로서의 새로운 해석, 시각으로 일상의 문제를 풀어가고자 하는 것이다. 이 프로젝트는 여러 종류의 미디어로 노출되어진 전쟁 이미지를 수집하고, 이동, 인터뷰, 현장답사 등이 콜라주 되어 다큐멘터리 전략으로 보여줄 것이다. 전쟁 뒤에 숨겨져 있는 자본 혹은 권력에 대한 상투적인 나열이기도 하겠지만, 파편화된 사적인 삶의 역사를 재구성하고 가공하여 역사와 인류학의 시각화, 사회화시키는 과정의 작업이다. 결과적으로 객관적 사실 너머에 있는 내면의 모습을 통해 미래에 대한 가능성을 찾기 희망하는 작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