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우리가 갈망하는 나라들...

조회 16,739

관리자 2005-07-30 15:57

작가아놀드 파스키에
아놀드 파스키에는 이탈리아를 자신의 상상의 영토로, 자신의 타자로 만들었다. 건축이나 음악 그리고 무엇보다 영화 가운데서도 페플럼(peplum)이나 네오리얼리즘 계열의 영화에 의해 전달되는 이탈리아의 문화나 클리세를 통해 이 작가는 타자에 대한 욕망의 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영화들을 실현한다. 그 영화들의 배경음악이 한결같이 , 즉 나는 내 사랑 당신을 원한다고 끝없이 반복하고 있는 이유도 그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우리가 갈망하는 나라들이 우리가 실제로 거주하는 나라에서 보다 매 순간 우리의 진정한 삶을 위해서는 더 많은 장소를 차지한다. The countries we long for occupy a far larger place in our actual life, at any given moment, than the country in which we happen to be.> 라는 프루스트의 소설에서 따온 긴 제목의 이 영상설치 작품에서 작가는 두 부류의 영상이미지들을 대면시킨다.
흑백의 느린 첫째 화면은 한 남자와 여인을 소재로 안무한 것이다. 다른 화면은 칼라이고 베니스의 바포레토(vaporetto) 배를 타는 익명의 여행자들을 혹은 노조원들의 정치집회를 담고 있다.

아놀드 파스키에는 이탈리아를 자신의 상상의 영토로, 자신의 타자로 만들었다.건축이나 음악 그리고 무엇보다 영화 가운데서도 페플럼(peplum)이나 네오리얼리즘 계열의 영화에 의해 전달되는 이탈리아의 문화나 클리세(clich)를 통해 이 작가는 타자에 대한 욕망의 관계를 특징으로 하는 영화들을 실현한다.
그 영화들의 배경음악이 한결같이 , 즉 나는 내사랑 당신을원한다고 끝없이 반복하고 있는 이유도 그 사실과 무관하지 않다.
<우리가 갈망하는 나라들이 우리가 실제로 거주하는 나라에서 보다 매 순간 우리의 진정한 삶을 위해서는 더 많은 장소를 차지한다. 라는 프루스트의 소설에서 따온 긴 제목의 이 영상설치 작품에서 작가는 두 부류의 영상이미지들을 대면시킨다.
흑백의 느린 첫째 화면은 한 남자와 여인을 소재로 안무한 것이다. 다른 화면은 칼라이고 베니스의 바포레토(vaporetto) 배를 타는 익명의 여행자들을 혹은 노조원들의 정치집회를 담고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