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4 틈-땅, 바다 그리고 하늘 사이

조회 20,018

관리자 2005-07-30 12:42

작가칼 빌링슬리
사전에서는 ‘chasm’이란 단어를 깊이 갈라진 틈, 또는 만, 큰 차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그래서 작가에게 ‘틈'은 공간이라 느껴진다. 각 요소들 사이, 사람들 사이, 우주의 사이에 있는 공간들 말이다. 그것은 사람들이 항상 연결하고자하는 벌어진 틈이다. 때때로 틈은 무한히 큰 것 같지만 한편으로는 단지 한 단계나, 한 단어에 불과하다. 이 작품을 구성하고 있는 부분들은 고대의 공기(air), 물(water), 땅(earth), 불(fire)의 네가지 요소들이다. 이 요소들은 이 세계를 대표한다.
말하자면, 돌은 땅을 의미하고, 활모양의 조각은 바다의 파도를 나타낸다. 작품의 끝에서 끝으로 움직이며 나는 바람의 소리는 공기이고, 용광로에서 만들어진 하늘로 솟아있는 스테인레스 스틸관은 불을 표상한다. 그래서 이 작품은 네 가지 요소들을 상징하는 동시에, 인간의 욕망들 사이에 존재하는 틈 사이에서 조화를 찾으려 서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