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02 아가를 위하여

조회 19,142

관리자 2005-07-29 19:04

작가최평곤
당진참여연대와 환경연합 등 조직적인 시민단체 활동을 하며 지역에서 뿌리깊은 진보 운동을 펼치고 있는 그는 미래적 인간의 삶에 관한 구도적인 메시지를 담은 거대한 인체 조형 작업을 하고 있다. 이 작가의 주제는 사람의 문제이다. 삶과 현실과 역사에 대한 문제이다. 이번 2 0 0 2바다미술제의 출품작은 작업의 규모면에서 18m 높이의 대나무로 이루어진 군상이 제시된다. 쪼개고 엮어 만든 이 대나무는 아프간 난민촌의 아이를 형상화한 것이다. ‘아가를 위하여’는 그들의 모습이자, 작가의모습이자, 우리들의모습이기도하다. 이것은오늘의 현실을 말한다. 초췌한 그 사람이 안고 있는 아기는 미래요, 희망이요, 꿈이다. 태고의신비를 간직하고있는 바다는생명의근원이다. 그 바다속에서 그사람이 걸어나온다. 이것은 그를 둘러싸고있는 환경의 시각적 변화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