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14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아카이브부산비엔날레2014부산비엔날레작가/작품보기특별전 - 아시안 큐레토리얼展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4 생명의 노래 - 숲에서(부분)

조회 16,592

관리자 2014-09-17 19:29

작가김병종
특별전 - 비엔날레 아카이브展


Ink and color on mulberry paper board
190x570cm

생명의 노래 - 숲에서(부분)


동양화의 누벨바그
내 작업은 그림 그리는 초기부터 몇 가지 특징을 가졌던 거 같다. 자연관의 문제에 인문학적인 상상력을 더했고, 거기에 조형적인 몇 가지 시도들로 조금 유니크한 진행을 보여 왔다. 특히 자연관에 있어서는 시골 출신이고 어려서부터 풍성한 자연 체험을 하며 지내왔다는 게 많은 영향을 미친 거 같다. 그렇지만 보고 느낀 바대로의 자연만은 아닌 그 위에다가 내 나름대로의 상상력을 가미시키고 보태면서 진행해 왔다. 이게 ‘생명의 노래’ 연작에 단초가 되는 거다. 또 하나는 유년적인 종교 환경의 영향인 종교적 테마로서 ‘바보예수’ 연작을 한 10여년 정도 했다. 여기서는 기존 성화의 관점을 패러디한다고 할까? 좀 뒤틀어 보이면서 사회성 있는 상상력을 가미시키려고 노력했다. 세 번째는 여행. 일종의 인생의 낙천성, 유머 이런 것을 동심하고 연결시켰다. 또 시리즈물로 엮어보면서 단일하고 단조로운 주제로 쭉 지내왔다기보다는 생명, 종교적 메시지, 그리고 여행, 사람들의 삶, 풍경 이런 여러 가지 주제들이 감성의 포충망이라고 할까, 저인망에 걸려들듯이 끊임없이 나 자신을 자극하고 몰아갔던 거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