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4,642
관리자 2014-09-17 18:59
Mixed pigment on canvas
194x259cm
무제
수레바퀴 밑에서
당시에 프랑스나 미국이나 또는 독일이나 이런 쪽의 화단의 분위기는 소위 얘기하는 포스트모던한 경향들, 파리에서는 신구상회화니 또는 자유구상이니 또는 독일에서는 신표현주의니 이탈리아에서는 트랜스 아방가르드라든가 또는 미국 쪽에서는 뉴페인팅이라고 하는 이름으로 우리가 생각하는 진부하다고 얘기하는 그러한 미술도 아주 새롭게 와 닿았던 상황이 아니었는가 그렇게 생각을 한다. 그러면서 그런 작업들을 줄곧 파리에서 하다가 귀국했을 때 한국이 갖고 있는 상황은 그 당시에는 민중미술의 계열의 작업들이 좀 더 목소리를 강하게 냈던 그런 시기였다. 그리고 파리에서 있으면서 당시에 퐁피두센터에 있는 도서관에 자주 갔다. 갔는데 거기서 봤던 사진 중에서 당시에는 한국에 알려져 있거나 공개되지 않았던 그런 자료 사진들을 많이 접하게 됐다. 한국에서 일어났던 일들이긴 하지만, 예를 들면 광주의 민주화 항쟁의 내용을 파리의 퐁피두센터에서 처음 사진으로 봤다. 한국에서는 아마 그 사진들이 1985년도 그 이후에 공개되거나 그랬던 걸로 알고 있는데 그 때 1982년도에 파리도서관이나 퐁피두도서관에서 본 그러한 사진과 그리고 이란․이라크 전쟁에서의 참혹한 전쟁 현장의 사진을 보면서 오늘 내 작업의 단초가 되는 그러한 시작이 이루어지지 않았는가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