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5,404
관리자 2014-09-17 18:04
Plexiglas, Acrylic and mixed media on canvas
282×202.5cm
감각의 조건
포스트 모던의 기수
성장하면서 자기 세계라고 할 수 있는 문제들하고 접속을 하게 되는데 그 내용들이 우리 1970년대 이후 지금까지 역사라면 역사랄까 어떤 생각의 역사들에 관련돼 있다고 본다. 그래서 처음엔 외부적인 사건들이나 현상들에 관심을 많이 가졌던 또 물질실험이라든가 형식실험 같은 것들에 주로 참여를 많이 했던 것에 비해서, 후반기로 오면 대체로 개인적인 사고의 층들 또 사고의 영역들 구분들에 대해서 굉장히 많은 관심을 가지고 이어져왔고, 지금은 훨씬 내밀한 세계에 대한 의미체계들을 탐구해가는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지금도 뭐 크게 약간의 주제들의 변화는 있지만 세계성과 관련된 문제들을 다루고 있고 또 많은 관심들을 가지고 연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