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6,571
관리자 2014-09-17 17:59
Acrylic and Glass Powder on Canvas
259×194cm
생성공간_변수
질감의 시간성
작업의 방법적인 면에서는 혼합재료를 주로 쓴다. 일반적으로 아크릴이라는 게, 단순한 물감만을 가지고 그림을 그리다보면, 유화와는 조금 다르게 비닐 코팅 되어진 듯한, 가벼운 느낌들이 있다. 그런 점들이 우리의 내밀한 정서와 부합되지 않는다는 생각이 들어서 혼합 재료로 유리가루나 돌가루를 주로 사용한다. 돌가루는 빻는 과정에서 상당히 입자가 걸쭉하고, 뾰족하고, 상당히 날카롭다. 혼합할 때도 부드럽게 섞이질 않는다. 그래서 주로 입자가 동글동글하게 생긴 유리가루를 쓴다. 분말처럼 보이지만 사실 작은 알갱이로 되어 있다. 물감과 믹스할 때 상당히 부드럽게 혼합이 잘된다. 그 느낌이 단순히 원래의 재료인 아크릴 물감으로 쓰는 거에 비해서 우리 정서와 더 잘 부합된다. 마치 우리가 된장찌개를 좋아하듯, 물감에서도 투박함 같은 것이 오히려 질감적인 측면에서 우리와 정서적으로 잘 부합된다. 이런 경험으로 1990년대서부터 줄곧 그런 식으로 색감과 재료를 써왔다고 말할 수 있을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