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14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아카이브부산비엔날레2014부산비엔날레작가/작품보기특별전 - 아시안 큐레토리얼展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4 뚱보 - 생기!

조회 19,691

관리자 2014-09-16 13:50

작가무 보얀
특별전 - 아시안 큐레토리얼展

2011
Color on Resin
53x47x55cm

뚱보 - 생기!


2011
Color on Stainless Steel
142x37x42cm

뚱보 – 점


2011
Color on Stainless Resin
100x90x40cm

뚱보 – 써니

한때, 비만이라는 현상에 특별히 관심이 있는 것은 아니지만 “뚱뚱이”를 통해 무엇을 표현할 수 있을지 호기심과 열정이 있었다. “뚱뚱함”에서 사회적 저속함을 끌어내고, 어떠한 정체성도 부여하지 않고, 성별도 모호하게 설정하여 더욱 더 순수한 존재로 만들고자 했다. 평범하지 않은 형태와 풍부한 유연성을 더하여 이 존재를 웃음거리로 만들었다. 바로 그래서 내가 이 작품을 “평가하기 위해 필사적”인 것이다. 나는 “뚱뚱이”를 모순적으로 만들기 위해, 그러나 다소 완화된 모순적 속성을 부여하기 위해 노력했다. 이 “필사적인 평가”가 우리 영혼의 회색 부분을 건드려 인생 경험을 늘리고, 안과 밖의 대안을 관찰하는 연습을 하게 해준다. 뚱뚱이가 “필사적인 평가”를 어떻게 받아들이는가는 인생에 개입하는 나의 모습을 보여준다. 나는 흐릿하게나마 “시대상”이 작가의 독창성에 영향을 미치고, 특별한 흔적을 남긴다는 것을 느낄 수 있다. 나의 역할은 뚱뚱한 사람을 묘사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을 세상의 경험으로부터 떼어 놓는” 방법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런 나의 계획은 뚱뚱한 남자의 몸에서 새로 태어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