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18,230
관리자 2014-09-16 13:47
2014
Procedurally-generated live animation
Variable Size
생각하다, 별(부산); 고통을 지난 땅의 기록
별들은 끝없이 매혹적인 대상으로 인간은 수천 년 동안 별에 의미를 부여해 왔다. 사람들은 별들의 배열 속에서 신과 영웅, 악마 – 신화와 서사 속 전형적인 요소 – 를 보았고, 천문학자들은 별을 사용하여 현재와 미래에 대한 점을 쳤다. 첫 번째 뱃사람으로 하여금 더 먼 바다로 항해하여 인류가 전 세계로 퍼질 수 있게 한 것도 별이다. 여행이나 이주 등의 용도 외에도 별은 상대적 위치를 정확하게 알 수 있게 해 주었으며, 초기 이슬람교 천문학자들은 이를 통해 신앙의 얼굴인 메카를 찾을 수 있었다.
생각하다, 별(부산)‘ 고통을 지닌 땅의 기록은 투사된 작품의 베타 버전으로 주요 도시 및 도시의 중심지 등에 대한 작업이다. 이 작품은 하나의 움직이는 빛 패턴으로 마치 별의 지도를 그려낸다. 설치 기간 동안 별이 떠오르면 배경에서는 랜덤으로 ‘별의 배열’을 지정한다. 작품의 제목은 ‘생각하다’ - comsideris 라는 단어의 어원에서 비롯된 것으로, 별을 바라보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부제는 사유지의 경계를 표시하는 토지 대장 cadastre와 ‘역경을 뚫고 별들에게’라는 문구를 섞은 것이다. 빛의 패턴은 도시에서 볼 수 있는 인공 조명으로 이루어져 (고층 빌딩, 길거리의 불빛 등) 별의 지도를 나타내고자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