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14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아카이브부산비엔날레2014부산비엔날레작가/작품보기특별전 - 아시안 큐레토리얼展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4 테크노퍽 미

조회 18,236

관리자 2014-09-16 13:17

작가제니퍼 메히간
특별전 - 아시안 큐레토리얼展


2014
Giclee print and mixed media installation
디지털이미지 1.19x0.84m each 설치 1.5x1.5m

테크노퍽 미

‘테크노퍽 미’는 제니퍼 메히간의 ‘가상의 잔해’ (2013)에서 나타난 가상 및 물리적 영역을 둘러싼 개념을 한층 더 발전시킨 것이다. 가상의 3D 방을 연상시키는 ‘가상의 잔해’에서는 물체를 2D와 3D로 볼 수 있었다; 선택된 물체들은 그 자체의 배경에서 ‘인공적’으로 보이지만 인터넷이라는 배경에 놓고 보았을 때 ‘자연스러워’ 보인다. ‘테크노퍽 미’에서 메히간은 ‘이미지로서의 욕망이 물체가 되고 스크린 상의 물체가 되었을 때, 욕망의 물질화: 엄지 손톱의 구글 이미지 검색, 온라인 쇼핑 사이트, 포르노, Tumblr상에서 끝없이 흐르는 방대한 이미지, 카메라 섹스 창, 에몰리”.  온라인상에서 이미지의 축적과 넘치는 쓰레기 매립 사이를 비교하게 되고, ‘물체들의 기묘한 무덤’처럼 여겨질 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