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4

조회 21,114

관리자 2014-09-15 20:32

작가낫 바이탈
본전시

2010
스테인레스 스틸
505×105×125cm  
Edition : 3/5



스위스의 예술가, 조각가, 화가, 디자이너, 판화작가인 낫 바이탈의 작품은 작가로서의 그가 행한 지리적 이동, 여행, 칩거의 리듬에 상응하는 예술적 행보를 담고 있다. 낫 바이탈의 조각과 설치는 기묘한 주제, 혹은 신성한 기호의 배치를 우리 눈에 펼쳐 보인다. <혀 Tongue>는 모든 종류의 해석에 저항하는 작품이다. 작품에서 매끈한 강철로 표현된 피부의 부드러움은 일종의 반전을 보여주면서, 미니멀한 것으로 가정된 자신의 형식적 지평을 관통해 버린다. 토템, 곧 물질의 발기 혹은 언어는 이제 생명 에너지의 상징이 되고, 물질의 지배와 그것의 공간적 함축은 주체와 세부에 대한 승리를 상징하는 새로운 모더니티를 드러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