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14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아카이브부산비엔날레2014부산비엔날레작가/작품보기특별전 - 비엔날레 아카이브展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4 데슈카주'17

조회 20,292

관리자 2014-09-15 20:10

작가미리암 미힌두
본전시

아이티 2004/2006
얇은 강판 위 인화지 프린트
80×120cm
에디션 1/3 + 1EA

데슈카주'17

미힌두는 1993년 이래로 치유적 차원의 사유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작품을 발표하고 있다. 그녀의 작품들은 이런 고유한 경험을 통해 그에 연관되는 치유 및 의례의 과정, 부두교, 샤머니즘 및 서양의 최면술이 주장하는 육체를 통한 영혼의 회복 가능성을 묻는다. <살의 조상(彫像) Sculptures de chair> 시리즈는 그녀 자신이 행한, 아마도 보편적인, 고통스러운 신체 훼손의 속죄 의식 이후 붕대로 감싸인 사지와 치유의 과정을 보여준다. 그녀의 작품은 피를 뽑기 위한 고무줄 털실, 파라핀, 비누, 바늘 등 육체의 회복에 관련된 물건들을 통해서 오직 예술만이 철폐할 수 있을 사회적 세계 환경에 의해 생겨난 광기의 한계를 탐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