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2014부산비엔날레

이전메뉴 다음메뉴
아카이브부산비엔날레2014부산비엔날레작가/작품보기특별전 - 비엔날레 아카이브展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2014 불면자를 위한 소리

조회 18,146

관리자 2014-09-15 20:04

작가수-메 체
본전시

2007
5 사진, mp3 플레이어
각 104×104cm

불면자를 위한 소리

첼로연주자이자, 사진작가이며 조형예술가인 수-메 체는 대부분의 자신의 작품들에서 여러 매체들을 사용한다. 사막의 한 가운데에서 아스팔트를 문지르는 막대기의 소리와 리듬은 <사막의 청소부들Les balayeurs du désert>이라는 비디오 작품에서 물결 혹은 바람과도 같은 요소들의 소리 그 자체의 메아리를 형성한다. 이 작품은 2003년 베니스 비엔날레에 출품되었고 그녀는 이 작품으로 황금사자상을 수상하였다.
수-메 체는 공간과 더불어 작업하며 공간에 거주하는 선율적인 방식을 추구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녀는 청각적인 오브제, 조가비로 만들어진 헤드폰을 발명해내고, 우리를 무한으로 펼쳐지는 여행에 초대하는데, 이 여행에는 음악적인 것이라는 경로만이 유일하게 존재할 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