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63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4:22
<모호한 개>, 2024, HD영상, HD영상으로 변환한 16mm영상, 11분.
<슬픔에 젖은 개>, 2024, 나일론 망, 금속 바비핀, 길이 미상의 리본, 미측정.
<암울한 사자>, 2024, 나일론 망, 금속 바비핀, 길이 미상의 리본, 미측정.
<늙은 포로>, 2024, 나일론 망, 금속 바비핀, 길이 미상의 리본, 미측정.
<샤워하는 돌의 가운>, 2024, 나일론 망, 금속 바비핀, 길이 미상의 리본, 미측정.
<마에라의 어스름한 형상>, 2024, 나일론 망, 금속 바비핀, 길이 미상의 리본, 미측정.
<모호한 개>(2024)는 스리화나 스퐁의 친구이자 예술가, 영매인 앨리스 월터의 반려견 두 마리의 체온을 열화상 카메라로 추적하는 영상 작품이다. 인간성에 관한 법적인 정의를 주장하는 여러 법원 판례를 낭독하는 소리와 작곡가이자 가믈란 음악가인 아리스 다리오노(Aris Daryono)의 음악이 배경으로 흐른다. 작품은 군사 목적으로 설계된 정밀한 항해와 감시에 사용되는 도구와, 시, 그리고 활동적이고 감각적인 지식 등의 요소가 뒤섞여 있다. 개를 통해 인간의 재화와 인간이 머무는 장소 사이의 영역을 질문하며, 모든 번역 행위와 자기 인식에 내재된 모호함을 꼬집는다.
<슬픔에 젖은 개>(2024), <암울한 사자>(2024), <늙은 포로>(2024), <샤워하는 돌의 가운>(2024), <마에라의 어스름한 형상>(2024)은 이탈리아 남부에서 오랜 기간 마술 의식에서 사용되던 ‘길이를 재지 않은 리본’에서 아이디어를 가져온 작품이다. 각각에서 도출된 길이는 이후에도 ‘길이 미정’으로 남으며, 작품에 사용된 리본은 부산과 런던의 가게 주인들이 임의로 재단한 것이다. 물건을 거래하는 기존의 방식에 변화를 가미한 이 들쭉날쭉한 길이의 리본은 작품의 중심축을 형성한다. 작품의 제목은 트로이의 예언자 카산드라의 환상에서 유래한 것으로, 여왕 헤큐바가 형벌을 받아 개로 변하는 장면에서 따왔다. 카산드라는 어머니, 희생자, 포식자, 추방자, 유령 등으로 헤큐바의 변신을 나열한다.
스리화나 스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