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슈쉬 술라이만 & 아이 와얀 다르마디

조회 263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4:22

슈쉬 술라이만 & 아이 와얀 다르마디
<PETA - 한 점의 구름, 아홉 개의 빗방울>, 2024, 혼합매체 (나무 조각, 호코라 신사, 지도, 책, 은행나무), 가변크기.
 
슈쉬 술라이만은 흙, 고무 수액, 식물, 꽃, 재에서 추출한 안료, 나무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인간과 풍경, 그리고 자연 사이의 불가분의 협력을 주창한다. 현재 술라이만의 관심은 누산타라(Nusantara, 말레이시아 군도) 우주론, 지리 및 영적인 지성을 습득하고, 기존의 학습체제에서 탈피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아이 와얀 다르마디는 2013년부터 술라이만과 협력하여 게타 베닝(Getah Bening)이라는 콜렉티브로 활동하고 있다. 인도네시아어로 림프를 뜻하는 ‘게타 베닝’은 산소와 영양분을 순환시키지만 때로는 병원체를 퍼뜨리는 신체 림프계의 기능을 은유적으로 가리킨다. 이 콜렉티브는 자연과 문화적 힘 사이의 모순적인 관계를 수용하며, 때때로 정치적 의도와 온건한 이미지를 의도적으로 병치시키는 작업을 해오고 있다. 그들은 2013년, 2015년 고무나무 조각 작품으로 시작해, 나무 조각과 풍경을 통해 우주 에너지를 수신하고 전송하는 누산타라 미학을 일상에서 실천한다. <PETA-한 점의 구름, 아홉 개의 빗방울>(2024)에서, 슈쉬 술라이만과 아이 와얀 다르마디의 협업은 동남아시아, 일본, 현재 부산에 이르는 특정 지역을 함께 여행하며 나무를 채집하고, 연관된 오브제를 만들고, 의례 장소를 정하고,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고, 사람들을 만나며 서로의 의도를 일치시키는 과정에서 발현된다. 이 작품은 싱가포르 라자루스 섬의 <칸실 멩가답 베린(Kancil Mengadap Beringin)>, 말레이시아 무아르 강의 <떠다니는 니파 섬(Floating Nipah Islands)> 및 일본 오노미치의 <바다 사람들을 위한 뉴랜드스캅 여우 신사(NewLandskap Foxes Shrine for SEA people)>의 또 다른 작품과 연결되는 시리즈다.
 
 
 
 
 
슈쉬 술라이만 & 아이 와얀 다르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