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91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4:21
<멜팅 아이스크림>, 2021, 단채널 비디오, 흑백, 스테레오 오디오, 60분.
<멜팅 아이스크림>(2021)은 홍진훤이 수해를 입은 민주화운동 당시의 필름을 복원하는 과정에서 ‘이미 완전히 승리한 민주화’를 역사화하려는 욕망을 발견하는 것에서 시작되었다. 그러한 욕망은 결국 영웅화, 신화화의 결과를 낳을 뿐이었다. 민주화 운동의 영웅이었던 이들이 대통령이 되었고 IMF, 정리해고, 비정규직으로 이어지는 신자유주의의 비극은 더욱 가속했다. 물론 그때도 그 지옥을 막기 위해 싸웠던 사람들이 있었다. 싸우지 않을 도리가 없던 사람들, 그리고 그 사람들을 기록했던 사람들. 필름을 복원할수록, 그 시대의 영웅들을 복원할수록, 그 영웅들이 만든 세계와 싸웠던 사람들은 사라져갔다. 홍진훤은 녹아내린 필름에서 ‘어떤 세계를 복원할수록 삭제되는 어떤 세계’를 가시화한다.
홍진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