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시 한

조회 306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4:21

지시 한
<나방들>, 2024, HD 디지털 비디오, 조명, 컬러, 진동, 사운드, 8분 12초.
<허물 (3 a.m.)>, 2024, 체인, 케이블, 하드웨어, 베이스 셰이커, 진동, 가변크기.
 
지시 한의 신작 <나방들>(2024)에서 작가는 어둠 속에서 나방을 관찰하고 촬영하여 가시성을 약화시키는 분위기의 설치 작품을 제작했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미지가 어둠에 잠식되어 흐려지고, 형태와 배경은 합쳐진다. 비디오는 서서히 녹아 내리며 우리의 시력을 시험하는 듯한다. 이는 마치 생명으로 가득 찬 듯 요동치는 쇠사슬과 금속 조각들이 만들어내는 강렬한 진동을 수반한다. 작가는 곤충 행동에 대한 곤충학자들의 다양한 관찰에 주목하며, 이를 인간 행동의 조직과 충동에 관한 은유로 차용한다. 그러나 어쩌면 이 비유는 오히려 우리 자신을 이해하기 위해 외부의 존재와 시스템에 무언가를 투사하려는 욕망이라고 하는 편이 가장 적절한 설명이 될지도 모른다.
 
 
 
 
 
지시 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