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소피아 알-마리아

조회 271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4:20

소피아 알-마리아
<황소와 곰>, 2023, 메탈릭 페이퍼에 피그먼트 프린트 한 쌍, 알루미늄 프레임, 가변크기.
 
소피아 알-마리아는 드로잉, 콜라주, 조각, 영화 등 다양한 매체를 통해 자본주의 문제에 대한 대안적인 미래를 스토리텔링과 신화 창조의 힘을 통해 탐구하고 상상한다. 이번 부산비엔날레에서 작가는 차기 비디오 작품을 위한 사진 및 사운드 작업 <황소와 곰>(2023)을 선보인다. 사진은 정장을 입은 남자가 도시 풍경 속을 걷는 모습을 담고 있다. 이 남자는 미국 채널 CNN에서 일하는 영국 언론인 리처드 퀘스트(Richard Quest)로, 그의 프로그램 <퀘스트 민즈 비즈니스(Quest Means Business)>를 통해 준신화적인 명성을 얻었다. 퀘스트의 특징적인 목소리가 시장의 변동성에 영향을 미쳤던 점에 착안해, 알-마리아는 작품 제목을 금융 시장의 상승세를 의미하는 '황소(Bull)’와 하락세를 의미하는 ‘곰(Bear)’으로 설정했다. 알-마리아는 새로운 오디오 작업인 <본질과 하강 사이>(2024)를 위해 퀘스트에게 T.S. 엘리엇의 시 <텅 빈 사람들(The Hollow Men)>(1925)을 낭독해 달라고 요청했다. 이 시는 세계 문학의 정전(正典)이면서도 현대인의 일상어를 내포하는데,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붕괴, 파괴, 상실의 감정적 풍경을 그리며 문명의 종말을 암시한다. 퀘스트가 <텅 빈 사람들>을 낭독하게 함으로써 알-마리아는 자본주의만을 전능하고 유일한 실행 가능한 체제로 받아들이는 태도와 시에서 언급된 인류 문명의 위대한 창조물들이 삶에 의미를 부여하지 못하는 무력함 사이에 강력한 연결 고리를 만들어낸다. 한편 <텅 빈 사람들>은 불교의 불의 설교(The Fire Sermon)을 인용하며, 영적 깨달음을 얻기 위해 세속적 욕망과 열정을 억제해야 한다는 가르침을 전하기도 한다.
 
 
 
 
 
소피아 알-마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