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270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4:13
<르 파리>, 2024, 갈바륨 강판, LED, 광학성 PC, 150x500x20cm.
셰이크 은디아예에게 영화는 건축적 장치(영화관), 서사 도구(영화 장면), 그리고 빛과 그림자의 복잡 미묘한 작용을 통해 아프리카의 현대성을 상상하게 하는 중요한 도구다. 은디아예의 회화에는 옛 영화관, 도시 풍경, 고전 영화의 한 장면, 아프리카 지역 도시와 아프리카 디아스포라가 존재하는 장소에서 볼 수 있는 길거리 가판대 등이 자주 등장한다. 작가의 설치 작업은 도시의 경험 및 그 영화적 특성과 관련이 있으며, 글로벌 사우스의 토착적 독창성을 담은 아카이브의 역할을 한다. 2024부산비엔날레에서 선보이는 설치 작업 <르 파리>(2024)는 현재 철거된 다카르의 영화관 네온사인을 재현한다. 낯설고 새로운 맥락 속에 설치된 사인은 현대화된 도시를 향하는 꿈을 환기하기도, 지브럴 좁 맘베티의 영화 <투키 부키>(1973)의 사운드트랙을 연상시키기도 하는데, 영화에서 조세핀 베이커가 부른 <파리…파리>는 주인공이 세네갈을 떠날지 말지 망설이는 장면을 강조한다. <투키 부키>(1949)의 다른 장면들도 은디아예의 회화 <장물 자동차>(2022)와 <카나가 소녀>(2022)에 등장해 찰나에 발생하는 기억의 이미지를 소환한다. 은디아예의 예술 실천은 상상과 현실 사이의 변증법적 관계를 끊임없이 질문한다.
셰이크 은디아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