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윤석남

조회 342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4:01

윤석남

<김명시 초상>, 2020,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김옥련 초상>, 2020,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이화림 초상>, 2020,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동풍신 초상>, 2020,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부춘화 초상>, 2020,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윤희순 초상>, 2020,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이병희 초상>, 2020,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이희경 초상>, 2020,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가네코 후미코 초상>, 2021,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조마리아 초상>, 2021,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신정숙 초상>, 2021,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고수복 초상>, 2021,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이월봉 초상>, 2022,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노순경 초상>, 2022,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최정숙 초상>, 2022,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어윤희 초상>, 2022,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권애라 초상>, 2023,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김순애 초상>, 2023,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이효정 초상>, 2023, 한지 위에 분채 (2), 종이 위에 연필 (1), 210x94cm (1), 47x35cm (2).

 

윤석남은 어머니, 여성 노동자, 여성주의의 길을 개척해 온 동료 등 작가 주변 여성들의 모습부터 허난설헌, 김만덕, 바리공주 등 역사와 설화 속 인물을 작품의 소재로 삼아 회화, 나무조각, 대형 설치 등 제한을 두지 않고 열렬히 작업을 이어왔다. 오랜 기간 서양화 재료만을 다뤄왔던 그는 2011년 조선시대 화가 윤두서의 <자화상>을 새롭게 마주한 뒤, 2015년부터 채색화를 새롭게 익혀 초상화 작업에 매진하기 시작했다. <여성 독립운동가 초상 시리즈>(2020-2023)는 잊힌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이야기를 토대로 그들의 초상을 그리는 작가의 장기 프로젝트다. 이번 전시에서 선보이는 작품은 대형 전신 초상화 옆에 얼굴 연필 드로잉 및 얼굴 채색화가 하나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연작으로, 총 57점의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초상을 선보인다.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역사는 남성 독립운동가들의 역사에 비해 덜 알려진 것은 물론이거니와 당시의 긴박한 상황 탓에 사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작가는 이를 오히려 적극적으로 받아들여 사료에 따른 고증으로 인물을 그리기보다 관련된 글이나 이야기를 읽고 상상해 그렸다. 초상화 속에 배치된 사물, 배경, 의상은 그 인물의 업적과 행보를 짐작케 하는 상징적 도상으로 새롭게 그려 넣었다. 예전 캔버스에서 느꼈던 답답함을 공간 설치로 확장했다가, 다시 채색화를 그리는 빈 종이에서 자유를 되찾은 윤석남의 궤적이 여성 독립운동가들의 해방을 향한 강인한 투쟁 정신과 흥미롭게 포개진다.

 

 

 

 

 

윤석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