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368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56
<Ayuthheya>, 2019, 캔버스에 유채, 100x70cm.
<희망>, 2019, 캔버스에 유채, 120x80cm.
<Vibol>, 2019, 캔버스에 유채, 100x70cm.
<Channty>, 2023, 캔버스에 유채, 100x70cm.
티안리 추는 소련의 지원 속 캄보디아-베트남 전쟁 중이던 1985년 바탐방에서 태어났다. 추의 가족은 1층에 서점이 있는 집에서 살았는데, 그곳에서 발견한 소련의 프로파간다 이미지, 19세기 러시아 회화, 1960년대 캄보디아 아티스트, 특히 크메르의 근대 예술가 닉 딤(Neak Dhim)의 영향을 받았다.
티안리 추는 작품 속 인물들의 개인적 이야기를 회화적으로 해석한다. 작가는 거리나 마을에서 알게 된 사람들과 삶에 관한 대화를 나눈 후, 그들이 취한 포즈를 사진으로 남겨 회화로 옮긴다. 주로 고개를 든 채 상승하는 듯한 모습으로 인물을 묘사하는데, 두 가지 색상으로 나뉘는 배경은 인물의 입이 위치한 높이에서 뚜렷한 수평선을 만들어내며 상승하는 듯한 감각 혹은 깊은 물에 잠긴 듯한 느낌을 준다. 이처럼 추의 작품은 일상의 생존, 개인의 성취를 추구하기 위한 투쟁, 급변하는 동시대 캄보디아 내의 사회적 이동성을 부각시킨다.
티안리 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