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탄 속

조회 368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56

탄 속

<무제>, 2023-2024, 캔버스에 아크릴 물감, 285x185cm.

 

탄 속의 작업은 종교 의식, 업보와 공덕, 캄보디아에서의 승려와 예술가의 사회적 및 정치적 역할에 바탕을 둔다. 특히 캄보디아와 불교 간의 다층적인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영적인 믿음과 엄격하게 규제된 집단 도덕성이 크메르 토착 문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질문한다.
이번 비엔날레에서 선보이는 <무제>(2023)은 캄보디아 캄퐁톰 지역의 1960년대 한 승탑 그림에 관한 호응으로서 의뢰되었다. 그림 속 장면은 불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이야기인 부처님의 장례식을 묘사하고 있다. 탄 속은 이 이야기를 다양한 군중이 참석한 장면으로 표현하며, 많은 역사적 및 현대적 정치 지도자들이 존경심을 가지고 애도하는 모습을 담아 불교의 확산, 다양성, 포용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작가는 그림의 하단을 둘러싼 가상 후원자들의 초상화를 작품의 의뢰자들과 함께 고민했다. 이 초상화에는 무정부주의적 인류학자인 데이비드 그래버, 유대인 독일 공산주의자 빌리 뮌젠베르크(Willi Münzenberg), 캄보디아의 의류 노동자 권리를 옹호하는 활동가, 물리학자 알베르트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 블랙 팬서 당의 휴이 퍼시 뉴턴(Huey Percy Newton), 그리고 공산주의 선언의 저자이자 혁명 지도자인 칼 마르크스(Karl Marx)가 자리하고 있다.
 
 
 
 
 
탄 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