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소라윗 송사타야

조회 335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55

소라윗 송사타야

<7개의 음과 42개의 현이 있는 2개의 다리>, 2024, 라탄, 조개 껍질, 건어물, 오징어 뼈, 돌, 그릇과 바구니, 가변크기.

<거인들의 어깨>, 2023, 단채널 비디오, 유성, 45분 5초.
 
<7개의 음과 42개의 현을 가진 두 개의 다리>(2024)는 작가의 어린 시절 기억과 관련된 음향적, 후각적 기억을 모아 재해석하고, 색다른 방식의 퍼포먼스와 청취 행위를 요구하는 해체적 악기를 상상하는 작업이다. 이는 현악기인 킴(ขิม)에서 아이디어를 얻었다. 작가는 부산의 시장과 해안가에서 수집한 어패류의 껍데기와 돌을 다리 부분 구성 요소로, 태국에서 가져온 얇은 등나무 덩굴을 현으로 사용한다. 이는 작가의 대숙부가 운영하던, 이제는 사라진 소규모 어장 공장의 냄새를 떠올리게 하는 재료들이다. 이때 작품은 재료의 위치를 재배치하며 청각 기억을 되돌리는, 또 재료들이 확실하게 분해되는 일시적 장소가 된다.
<거인의 어깨>(2023)는 뉴질랜드 남섬의 센트럴 오타고 풍경을 가로지르는 경로와 지질학적 지형을 추적한다. 이 지역의 편암과 석회암을 드론으로 촬영한 영상과 작가가 디지털로 제작한 오디오를 결합했다. 편광으로 촬영한 석회암의 현미경 이미지가 3D 애니메이션 및 사진 측량 시퀀스와 어우러져 암석 노두의 광물 복합체를 표현한다. 영상에서는 태국의 모음 기호와 디지털 수채화가 땅의 영상으로부터 자라나고 벗겨지며, 땅의 소리를 듣고 교감하려는 시도를 전달한다. 여기서 언어와 문자는 인간과 돌, 즉 기록과 전사가 전이되는 부드러운 몸체와 단단한 몸체 사이의 고대적 관계를 상상하게 한다. <거인의 어깨>는 소리를 통해 땅과 대화할 수 있는 가능성을 가늠한다.
 
 

<라낫>, 2024, 타라나키 안산암, 오아마루석, 오닉스, 말린 식물, 53x152x34cm.
 
<라낫>(2024)은 태국의 목재 타악기 라낫(ระนาด)을 참조해, 작가가 거주하던 뉴질랜드 아오테아로아 곳곳으로부터 온 타라나키 안산암과 오아마루석을 재사용하여 만든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장소와 전통과의 관계는 멀고도 가까운 상태로 남아있다. <라낫>은 수작업 조각과 고압 워터젯 CNC 공정을 사용해, 돌이 소리를 발산할 수 있다는 색다른 청취에 관한 아이디어를 제시한다. <라낫>은 들리지 않는 것과 지속 시간 및 기억과의 관계를 고려하며, 일시적인 진동과 발화가 시각적 형태로 변환되는 경로를 탐구하고 고민한다.
 
 
<바디 랭귀지>, 2024, 아크릴 물감, 세이지 매트, 라탄, 재활용된 종이, 디지털 프린트, 72x325x5cm, 110x560x5cm.
 
<바디 랭귀지>(2024)는 갈대를 이용해 만든 매트를 오선으로 사용하여 수제 종이, 식물 재료, 디지털로 렌더링 된 표식이 악보로 쌓여가는 형태의 그래픽 표기법을 보여준다. 수제 종이에 인쇄된 디지털 렌더링 패턴은 1900년 9월 독일 베를린을 방문한 시암(태국) 극단이 공연한 <캄 홈(Kham Hom/달콤한 말)>의 녹음을 변환한 사운드 애니메이션의 스틸 이미지다. 사초과 식물로 짠 매트는 작가의 친할머니 고향인 찬타부리에서 온 여성들에 의해 엮어졌다. 이때 ‘엮는(weaving)’ 행위는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전수한 것으로 알려진 베트남 천주교 수녀들의 공예가 해당 지역에 도입된 역사를 추적하게끔 한다. 오선으로서의 갈대 매트는 기록되지 않은 가족의 계보와 파편화된 이주 역사를 다시 연결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바디 랭귀지>는 그래픽 표기법의 형태를 빌려와 음악을 이차원적 표면 위 고정된 코드로 기록하는 기존 서구 음악의 표현 방식을 해체한다. 반드시 재현 가능해야 할 필요가 없는 음향의 직조는 혈통과 역사를 이해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소라윗 송사타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