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슈쉬 술라이만

조회 333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54

슈쉬 술라이만

<아시아 텡가라 / 동남아시아>,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25.8x74.5cm.

<누산타라>,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49x20x5.3cm.

<구눙 레당 / 오피르 산>,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39x68.5cm.

<갈루 왕국>,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18x10.3cm.

<조몬>,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52x41.5cm.

<미토콘드리아 DNA>,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15x10.7cm.

<오랑 라우트족 / 뱃사람>,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71.6x47x7cm.

<풀라우 니파 / 니파 섬>,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38.5x62.2cm.

<마타 하리 / 태양>,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100.3x17cm.

<아이누>, 2017-19, 카드보드지에 수채 물감, 37.5x43x3cm.

 

슈쉬 술라이만은 흙, 고무 수액, 식물, 꽃, 재에서 추출한 안료, 나무 등의 재료를 사용하여 인간과 풍경, 그리고 자연 사이의 불가분의 협력을 주창한다. 현재 술라이만의 관심은 누산타라(Nusantara, 말레이시아 군도) 우주론, 지리 및 영적인 지성을 습득하고, 기존의 학습체제에서 탈피하는 것에 초점을 두고 있다. 중고 박스에 그린 드로잉 시리즈에서 작가는 딸 시드라 멜라티(Siddra Melati)를 위해 누산타라에 관한 이야기를 알려주는 학습 도구를 만들었다. 딸에게 인간의 몸과 지리가 맺는 밀접한 관계의 중요성을 설명하고자 작가는 딸이 상자 집, 장난감 및 공예품을 만들 때 주로 사용하던 재료에 상징과 이야기를 담는다. 이 작품들의 제목은 누산타라, 텡가라(Tenggara), 구눙 레당(Gunung Ledang), 갈루(Galuh), 일본의 조몬족 및 아이누족과의 연관성 등 적도 지역의 민속을 탐구하는 데에서 그 의미를 더한다. 그 외에도 동남아시아의 다양한 토착 설화와, 동식물, 오랑 라우트(Orang Laut/뱃사람), 필리핀의 라농(Lanong/해적선), 상 칸실(Sang Kancil/말레이 설화 속 쥐사슴), 포혼 베링긴(Pohon Beringin/누산타라 우주론의 상징인 반얀 나무), 후잔(Hujan/비), 후탄(Hutan/숲), 니파 섬(Nipah Islands) 및 페타(Peta/지도)를 떠올리게 한다.

 

 

 

 

 

슈쉬 술라이만 & 아이 와얀 다르마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