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신학철

조회 359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54

신학철
<한국현대사-질곡의 종말>, 2021, 캔버스에 유채, 330x130cm.
<한국현대사-촛불혁명>, 2022, 캔버스에 유채, 181x259cm.
 
“광주리를 메고 들밥을 나르는 그런 장면도 역사라고 보고 싶다. 정치사 같은 거대한 장면은 아니지만 생활사, 정서적인 역사가 아닌가 생각한다. 예전에는 그런 것들이 누추하다 생각했지만, 요즘에는 그런 게 더 자랑스럽다.” -《신학철 展》(2023, 신불당아트센터) 인터뷰 중
신학철은 홍익대학교 입학 후 모더니즘 계열의 초기 작풍을 구사하다가, 한국 사회의 정치적 격동기를 거치며 민중미술 계열의 작품으로 경로를 전환했다. 역사를 구체적 실체로서 파악하고자 노력하며 80년대에는 <한국근대사> 연작, 90년대에는 <한국현대사> 연작 등 40여 점을 잇달아 발표해 화단에 커다란 반향을 일으켰다. 신학철의 <한국현대사-질곡의 종말>(2021)에는 얼굴 없는 수많은 민중의 죽음을 밟고 선 한국 근현대사의 인물들이 보인다. 이들의 수직적 배열이 무너지지 않도록 둘러싸고 있는 존재들 또한 이미 희생되고 망실된 여럿의 개인이다. 일제강점기의 양민 학살부터 시작해, 한국전쟁의 참상, 4·19, 민주화 항쟁, 노동운동, 농민운동에서 희생된 민중사는 불길처럼, 신묘한 적란운처럼 치솟아 있다.
이와 공명하듯 대조되는 작품 <한국현대사-촛불혁명>(2022)은 2016-2017년 사이 박근혜 정부 퇴진 운동이었던 ‘촛불혁명'을 다룬다. 제18대 대통령 박근혜의 하야 또는 탄핵을 요구한 시민운동으로 2016년 12월 9일 국회에서 박근혜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통과되었고, 2017년 3월 10일 헌법재판소 재판관 전원의 만장일치로 대통령 박근혜의 파면을 선고함으로써 결실을 맺었다. ‘군주는 배이고, 백성은 물이다. 물은 배를 띄우기도 하고, 물은 배를 뒤집기도 한다.’는 뜻의 군주민수(君舟民水)가 떠오르는 이미지다. 왜곡하지 않으려 사진 이미지를 고집한다는 신학철은 이렇게 말한다. “거짓말이 아니다. 진짜다. 사실이다. 이렇게 이야기하기 위해서 사진을 씁니다. '이것 봐라. 그때 찍은 사진이 있지 않느냐'라고 하는 셈이죠. 매체에서 얻는 이미지로 작업하면서 현실 가까이에 있을 수 있어 외롭지도 않습니다."
 
 
 
 
 
신학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