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349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52
<출처 없는 물: 채찍 & 칼>, 2024, 채찍, 칼, 섬유, 나무 플랫폼, 모터, 조명 & 커튼 시스템, 가변크기.
<출처 없는 물: 채찍 & 칼>(2024)은 두 작가가 협업하여 제작한 설치 작품이다. 응우옌 푸엉 린의 <채찍>에서는 기계 팔이 들숨과 날숨의 느린 필연적 연속으로 채찍을 휘두른다. 채찍이 떨어질 때 생기는 그림자는 키네틱 설치 작품의 긴장감과 드라마를 고조시킨다. 채찍이 높이 올라갔을 때 공간의 빛은 가장 밝고 내려가면서 서서히 어두워진다. 일정하고 강렬한 백색광 아래의 작품은 임상적 분위기를 풍긴다. 트엉 꾸에 치의 <칼>에서는 수작업으로 단조 된 칼이 베트남 북부의 오래된 건축 양식으로 지어진 주택의 들보로 만든 나무판 위로 자유낙하를 한 후 천장 쪽으로 되돌아간다. 이 두 작품이 배치된 공간에는 각각 다른 입구로 들어갈 수 있는데, 빛을 차단하는 커튼이 두 공간을 가로지르며 채찍과 칼의 움직임이 일어나는 동안 주기적으로 닫힌다. <채찍>과 <칼>은 공유된 리듬에 맞춰 거울처럼 나란히 움직인다. 가죽 채찍은 부드럽고 날아오르고, 칼끝은 단단하고 뾰족하게 곤두박질친다. 두 작품 모두 형태와 유연성이 대조되는 재료를 사용하여 표면에 중력과 원심력을 가하는 자동화된 메커니즘으로 작동한다. 거의 변화가 없는 환경에서 채찍과 칼의 움직임이 끊임없이 반복되며, 그러한 움직임으로 발현된 미세한 충격은 폭력과 회복력, 충돌과 순환, 무게와 무중력, 탄생과 부패에 관한 성찰을 환기한다. 고유한 공간을 가진 것처럼 보이는 두 작품은, 홍수처럼 쏟아지는 붉은빛 안에서 서로를 만나게 된다. 이러한 반복적 연결은 신체 기관의 순환적인 수축과 팽창을 연상시킨다.
응우옌 프엉 린 & 트엉 꾸에 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