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374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48
<구멍>, 2008, 캔버스에 유채, 70x90cm.
2010, 캔버스에 유채, 50x40cm.
2009, 캔버스에 유채, 50x40cm.
2009, 캔버스에 유채, 50x40cm.
2010, 캔버스에 유채, 50x40cm.
2010, 캔버스에 유채, 50x40cm.
2009, 캔버스에 유채, 40x50cm.
2009, 캔버스에 유채, 35x40cm.
2010, 캔버스에 유채, 60x50cm.
<잃어버린 도시>, 2007, 캔버스에 유채, 200x100cm.
2011, 캔버스에 유채, 80x100cm.
2011, 캔버스에 유채, 80x100cm.
2010, 캔버스에 유채, 80x70cm.
2010, 캔버스에 유채, 80x70cm.
2010, 캔버스에 유채, 80x70cm.
<잃어버린 도시>, 2008, 캔버스에 유채, 200x300cm.
2010, 캔버스에 유채, 40x35cm.
2009, 캔버스에 유채, 40x35cm.
2009, 캔버스에 유채, 35x40cm.
2009, 캔버스에 유채, 40x35cm.
2010, 캔버스에 유채, 80x70cm.
2010, 캔버스에 유채, 80x70cm.
2010, 캔버스에 유채, 80x70cm.
2010, 캔버스에 유채, 130x97.5cm.
2010, 캔버스에 유채, 130x97.5cm.
이가영의 작업은 세계의 근원과 그 작동 원리에 관한 호기심으로부터 출발한다. 작업 초기에는 단색 계열의 추상 회화 작품을 주로 선보였다. 이번 전시에는 2007년부터 2011년 사이에 제작된 작품을 선별해 전시한다. 단순한 원과, 사각, 선으로 화면을 구성한 무채색 회화 연작이다. 그림을 유심히 들여다보면 중심과 중심이 아닌 것이 서로를 교차하며, 중심을 구분하는 경계인 ‘선분’과 ‘선분 내부가 다시 공간이 되는’ 영겁의 순환이 반복되는 것을 알아챌 수 있다. 이처럼 이가영의 그림 속 모든 경계는 포용의 공간을 내포하는 무경계를 가리킨다. 특정한 하나를 중심으로 명명할 수 없고, 안과 밖이라 구분할 만한 경계가 모호해진다. 도상적으로는 단순하나 심상적으로는 무한한 변주를 상상하게 한다. 최근에는 삼랑진에 머물며 동식물, 그와 더불어 사는 사람들의 일상을 세밀하게 사실적으로 담는 회화 작업, 존재와 세계를 숙고하며 탐구하는 사람의 형상을 빚는 조각 작업을 이어오고 있다. 초기 추상 작업부터 지금의 사실적 작풍을 함께 놓고 보면 작가의 작업 여정은 점진적으로 큰 변화를 마주한 것처럼 보이지만, 세계의 근원과 존재들 간의 상호 관계를 바라보는 그의 예술관은 한결같다.
이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