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회 355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46
<뉴질랜드 고용관계법 2000 제69ZD절 (2019)>, 휴게실 가구와 물품, 가변크기.
근로 휴식 시간에 관한 뉴질랜드 노동법을 작품으로 확장한 존 베아의 <뉴질랜드 고용관계법 2000 제69ZD절 (2019)>(2024)은 표준화된 근로 휴식 시간인 오전 10시에 15분, 정오에 30분, 그리고 오후 3시에 15분 동안만 운영된다. 작품 벽면에는 이상화된 태평양 섬의 라이프스타일을 홍보하는 관광포스터가 붙여져 전형적인 뉴질랜드 오클랜드의 공장 식당을 떠오르게 한다. 노동자의 휴식 공간을 부산현대미술관 공간에 소환한 이 작품은 이러한 장소를 지배하는 시간성과 각 장소가 허용하는 개인의 자율성 간의 대비를 극명하게 보여준다.
존 베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