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킵네비게이션

아카이브

Busan Biennale

부산비엔날레는 1981년 지역 작가들의 자발적인 의지로 탄생한 대한민국 최초의 비엔날레인 부산청년비엔날레와 1987년에 바다를 배경으로 한 자연환경미술제인 부산국제바다미술제, 그리고 1991년의 부산국제야외조각심포지엄이 1998년에 통합되어 부산국제아트페스티벌(PICAF)로 출범한 이후, 격년제 국제현대미술전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부산비엔날레는 정치적인 논리 혹은 정책의 필요성에 의해 발생한 것이 아니라, 부산 지역미술인들의 순수한 의지와 자발적인 참여로 시작되었다는 점에서 여타 비엔날레와는 다른 고유한 특성을 지니고 있습니다. 또한 지역의 미술인들이 보여 주었던 부산문화에 대한 지역적 고민과 실험성 등은 오늘날까지도 부산비엔날레 정체성 형성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습니다.

현대미술전, 조각심포지엄, 바다미술제의 3가지 행사가 합쳐진 경우는 부산비엔날레가 전세계에서 유일합니다. 또한 행사를 통해 형성된 국제적 네트워크는 국내 미술을 해외에 소개하고 확장시킴과 동시에 글로벌한 문화적 소통으로서 지역문화 발전을 이끄는 역할을 해왔습니다.

태동으로부터 39년째에 접어든 부산비엔날레는 현대미술의 대중화, 즉 일상 속의 예술 실현을 목표로 하여 실험적인 현대미술 교류의 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조 네이미

조회 371

2024부산비엔날레 2024-12-03 13:42

조 네이미
<더빙 식물>, 2024, 사운드 설치 (대나무, 혼 스피커 8개), 800x300x300cm.
 
<더빙 식물>(2024)은 역사적으로 긴밀했던 라디오 문화와 농업의 관계를 탐구하는 설치 작업이다. 프로젝트의 첫 번째 결과물은 1920년 영국 템스 강 하구를 통해 처음으로 전송된 라디오 전파를 다루는데, 이때 통신회사 마르코니의 작업실에서 최초의 엔터테인먼트 생방송이 송출되었다. 이후 조 네이미는 1924년에 마르코니가 실행한 첫 장거리 방송 실험을 조사하며 연구를 확장한다. 마르코니는 베이루트 항구에 정박해 있던 자신의 선박 엘레트라 호에 신호를 보냈다. 이 기술은 이후 1944년에 카이로 방송국에서 선구적인 작곡가이자 독창적인 민족음악학자인 할림 엘 다브가 변형된 자르(zaar, 빙의) 치유 의식을 리믹스하기 위해 이 라디오 기술을 활용한 최초의 전자 음악을 만들면서 불법 복제되었다. 라디오의 전파는 성장과 치유를 위한 새로운 소리와 꿈을 심었다. 엘 다브의 '자르의 표현'은 테이프 음악 또는 구체 음악 장르의 가장 초기작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녹음된 음원을 작곡의 원재료로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을 발견한 작품이다. 네이미의 설치는 마르코니 사운드 프로젝터가 부착된 채 임시로 설치된 대나무 송신탑처럼 보이는데, 앞서 언급한 역사를 바탕으로 작곡한 조 네이미의 사운드를 부산현대미술관에서 송출한다.
 
 
 
 
 
조 네이미